2026년부터는 냉장고나 세탁기뿐 아니라 보조배터리·이어폰·전기자전거 같은 소형가전까지도 무료로 수거됩니다.
바로 폐전기·전자제품 무상수거 제도 전면 확대 덕분입니다.
이제 복잡한 스티커 부착이나 신고 없이, 클릭 한 번으로 수거 신청이 가능합니다.
폐전기·전자제품 재활용 의무화란?
정부는 2026년부터 모든 전기·전자제품을 대상으로 환경성보장제(EPR+α) 를 전면 시행합니다.
즉, 제품 생산업체는 재활용 의무를, 소비자는 무료 배출권을 갖게 되는 셈입니다.
| 구분 | 설명 |
|---|---|
| 시행시기 | 2026년 1월 1일 |
| 주요 변화 | 전 품목 재활용 의무화, 무상 수거 확대 |
| 운영기관 | 한국환경공단 / 재활용공제조합 |
| 대표 품목 | 냉장고, TV, 세탁기, 전자레인지, 보조배터리, 이어폰, 전기자전거 등 |

2026년 무상수거 이렇게 바뀝니다 💡
- ✅ 유료 폐기 스티커 부착 불필요
- ✅ 무상 수거 서비스 확대 (전국 어디서나 신청 가능)
- ✅ 소형가전·복합가전 포함
- ✅ 재활용 확대 → 희토류·리튬 재자원화
무상수거 신청 방법 (실사용자용 가이드)
① 온라인 신청
아래 버튼을 클릭하면 한국환경공단 공식 무상수거 사이트로 이동합니다.
👉 접속 후 ‘개인 배출자 신청하기’ 클릭 → 주소/품목 입력 → 수거 날짜 선택 → 신청 완료
👉 신청 후 문자로 접수 확인이 오며, 지정된 날짜에 수거 차량이 방문합니다.



② 전화 신청
📞 대표번호 1599-0903
- 상담원에게 주소, 품목, 수량을 말하면 예약을 도와줍니다.
- 주말·공휴일 제외, 평일 09시~18시 운영
③ 수거함 이용 (소형가전 전용)
공동주택, 주민센터 등에 설치된 폐소형가전 수거함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.
- 보조배터리, 블루투스 이어폰, 소형 전자제품 등은 수거함 배출 권장
- 5개 이상 묶음 배출 시, 수거 효율이 높아집니다
| 수거함 위치 예시 | 확인 방법 |
|---|---|
| 아파트 관리사무소 | 단지 내 안내문 참고 |
| 행정복지센터 | 안내데스크 또는 청소과 문의 |
| 공공시설 | ‘폐가전 무상수거 수거함’ 안내판 확인 |



무상수거 배출 전 준비사항
| 항목 | 내용 | 주의사항 |
|---|---|---|
| 전원 차단 | 모든 전자제품의 전원 및 플러그 분리 | 안전사고 예방 |
| 배터리 제거 | 보조배터리·노트북·이차전지 분리 | 테이프 밀봉 후 배출 |
| 청소 | 음식물·먼지 등 제거 | 재활용 효율 향상 |
| 설치제품 | 벽걸이형 등은 미리 분리 요청 | 기사 방문 시 안전 조치 가능 |
무상수거 후 처리 과정
1️⃣ 수거 차량 방문
2️⃣ 제품 분류 및 재활용센터 이송
3️⃣ 금속·플라스틱 분리
4️⃣ 희토류·리튬·니켈 등 재자원화
5️⃣ 재활용 제품 생산 공정 투입



💬 이렇게 회수된 자원은 연간 1,100억 원 이상의 경제 효과를 낸다고 해요.
폐전기·전자제품 수거 시 유의사항
- 유료 수거 업체를 가장한 사기성 광고에 주의하세요.
- 반드시 한국환경공단 공식 채널(1599-0903 / 15990903.or.kr) 만 이용하세요.
- 가전 외 일반 쓰레기(가구, 매트리스 등)는 별도 처리 대상입니다.
환경적 효과 🌱
| 항목 | 기대 효과 |
|---|---|
| 자원순환 | 희토류·리튬 등 핵심 광물 회수 |
| 경제효과 | 연간 1,100억 원 규모 |
| 공급망 안정화 | 수입 의존도 감소 |
| 국민편의 | 무상수거 확대, 신고 간소화 |
FAQ
Q. 냉장고와 TV 둘 다 버릴 수 있나요?
A. 가능합니다. 대형가전도 무상 방문수거 신청으로 함께 배출 가능해요.
Q. 고장난 전자제품도 가능한가요?
A. 네, 작동 여부와 상관없이 수거 대상입니다.
Q. 배터리가 포함된 제품은요?
A. 테이프나 비닐로 감싸 절연 후 배출해주세요.
Q. 수거 날짜 변경은 어떻게 하나요?
A. 1599-0903 고객센터를 통해 조정 가능합니다.



2026년부터 전기·전자제품은 모두 무상으로 재활용 수거 대상이 됩니다.
이제는 폐가전을 방치하지 말고, 클릭 한 번으로 편하게 배출하세요!